pISSN: 1975-6461 / eISSN: 2465-8324

의정논총, Vol.15. no.2.(2020)
pp.25~62

DOI : 10.18808/jopr.2020.2.2

판문점 선언과 남북국회회담의 추진 : 동 선언에 대한 국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權奇源

(중앙대학교 박사수료, 법학)

본 논문은 판문점 선언 등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효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국회의 비준 동의가 없을 때의 법적 효력과 비준 동의가 있을 때의 법적 효력을 구분하여 분석하 는 한편, 통일 전의 동서독 기본조약과 비교해 본다. 대한민국 헌법은 조약에 대해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 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제6조제1항).”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헌법 제3조에 서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고 하여 서로 모순되는 듯한 헌법 규정으로 인하여 남북한 간의 합의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논란이 있다. 남북합의서 규범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는 국회의 비준동의가 요구될 수 있으며, 또 한, 집권 정당의 교체와 관계없이 남북합의서의 효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남북국회 회담이 개최되고 남북한 국회 및 정당 간의 교류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이에 역대 남북국회회담의 추진경과 및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기로 한다.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 및 국회 비준동의 문제와 남북국회회담의 추진경과 및 그 추진방향에 대한 논의에 중점을 둔다.

The Progress of the inter-Korean parliamentary talks and the Panmunjom Declara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Assembly's role in the declaration

Kwon, Gi Won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nature and effectiveness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such as the Panmunjom Declaration, and analyzes them separately from the legal effect when there is no parliamentary consent to ratify them, while comparing them with the basic treaty of East-West Germany before reunificatio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a treat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generally approved international laws have the same effect as domestic laws (Article 6, Clause 1)." However, Article 3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nnexes," and so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legal effect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due to contradictory constitutional regulations. In addition, there is a view that parliamentary ratification may be required to secure the normative power of the inter-Korean agreement, and that inter-Korean parliamentary talks should be held, and that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National Assembly and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political parties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nter-Korean agreement remains effective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ruling party. In response, this paper reviews the progress of the inter-Korean parliamentary talks and the future direction. Unlike the preceding studies, the focus is on discussing the legal nature of the inter-Korean agreement and the ratific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progress of the inter-Korean parliamentary talks, and the direction of its implementation.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보호정책
[우)0723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여의도동) 국회도서관 409호    TEL : 02)712-1181~2, 02)6788-4797    FAX : 02)6788-4796
COPYRIGHT 2015 KOREA PARLIAMENTARY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